VTS2 소형선박 좌초사고의 예방과 대응방법 울진군 죽변만등대로부터 200도 방향, 약 1.5마일 해상에서 어선 C호의 선장이 투묘 준비를 소홀히 한 채 해안 인근 해상에 도착한 후, 강한 바람이 해안 쪽으로 불고 있는 해상에서 기관을 정지한 후 장시간 표류하던 중 선박이 풍, 조류에 의하여 해안가로 떠밀리는 동시에 기관 시동이 걸리지 아니하여 선박이 계속 떠밀려 좌초에 이르게 된 해양사고가 있었다. 이와같은 좌초사고는 육지 등 해안가에 접근 또는 낯선 지역 해안의 특성을 파악하지 않은 채 타 지역에 항행 도중 주로 발생하기에 소형선박 좌초사고의 예방과 대응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1. 좌초사고의 예방 1) 육지에 접근 시 선박위치 자주 확인 선박이 항구에 접근할 때는 위치를 자주 확인해야 한다. 이때 GPS 플로터에 표시된 해도는 개략적인 해도이.. 2022. 1. 7. 2탄. 항해술 (대양항해, 천문항해, 전파항해) 항해술의 분류 중 대양항해, 천문항해, 전파항해를 자세히 살펴보며, 과거에 주목받았던 항해술과 현대사회에 비중 있는 항해술은 무엇인지 그 차이점과 특성을 이해하도록 한다. 1. 대양항해 1) 항정선항법(Rhumb Line Sailing) 항정선은 각 자오선과 같은 각도로 만나는 선이므로 항정선항법은 항상 일정한 침로를 유지하면서 항행하는 항법이다. 그러므로 항로는 위도가 높아질수록 곡률이 커진다. 보기엔 평면상 가는 것 같으나 실제로는 곡률로 가는 것이다. 평면항법, 거등권항법, 중분위도항법, 점장위도항법으로 지칭하기도 한다. 2) 대권항법(Great circle sailing) 항해거리를 단축하고 연료를 절약할 목적으로 지구 표면에 있는 두 지점을 지나는 대권을 따라 항해하는 항법이다. 대권은 직선상 .. 2021. 12. 2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