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양안전

1탄. 항해술 (항법과 항해술은 과거부터 미래까지 계속된다)

by Lee's 안전맞춤 2021. 12. 25.

 항해학이란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선박을 안전하고 또 경제적인 방법으로 항행시키기 위한 이론 및 기술을 배우는 학문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선박을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항행시키는 과정에서 필요한 위치, 방향 및 거리를 결정하는 방법, 지식은 항법과 항해술로 오랜 과거부터 머나먼 미래까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1. 항해술이란

 

  항해술은 건널 항(航) ,바다 해(海), 방법 술(術) "바다를 건너는 방법" 정도로 해석이 가능할까?

 우리가 배를 이용하여 사람과 물건을 나른 역사는 인류의 역사와 공존하여 왔고 선박을 바다 위로 이동하는 데 필요한 지식 및 기술 기본지식을 바탕으로

  • 항로를 선정하는 기술
  • 선위를 구하는 기술
  • 각종 항해계기를 사용하는 지식 및 기술

 즉, 지구위의 어느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선박을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을 항해술이라고 할 수 있다.

 

오래된 세계지도와 지구본

 

2. 항해술과 지구상의 위치 파악

 

가. 자오선(meridian)

  • 양극(지축)을 지나는 대권이다.
  • 자오선은 적도와 직교한다.
  • 우리나라 표준자오선은 135˚이다.

나. 적도(equator)

  • 양극(지축)에 직교하는 대권이다.
  • 자오선에 직교하는 대권이다.

다. 거등권(parallel)

  • 적도와 평행한 소권이다.
  • 지축에 직교하는 소권이다.

라. 지권(회귀선)

  • 적도에서 23˚27' 떨어진 거등권이다.
  • 북: 하지권(북회귀선)
  • 남: 동지권(남회귀선)

마. 극권

  • 위도 66˚33'의 거등권이다.

바. 위도(latitude, 약: lat)

  • 거등권과 적도사이의 자오선상 호의 길이 또는 이 호가 지구중심에서 이루는 각이다.
  • 위도의 1˚길이가 가장 긴 곳은 90˚(극)이다.
  • 적도에서  1˚=1842m, 45˚=1852m, 극에서 1˚=1861m이다.

사. 경도(longitude, 약: long)

  • 본초자오선과 어느 지점의 자오선 사이의 적도상 호 혹은 그 호가 지구 중심에서 이루는 각이다.

 

공원모습 (그리니치)
그리니치

3. 항해술의 분류

 

 가. 대양항해

  대륙간 항해를 말하며 주로 원거리 장기 항해를 지칭하며 항법에는 항정선항법과 대권항법을 활용하여 항로를 선정한다.

 

 나. 연안항해

 해안선을 따라서 항해하는 방법이며 주로 육안으로 물표들이 식별이 가능한 경우 지표물을 이용한 항법을 활용한다.

 

 다. 협수로항해

 연안항해의 일종으로 좁은 수역을 통항하는 항해를 말하며 여러 가지 위험요소들이 많으므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라. 입출항항해

 항구를 출항하거나 입항할 경우 입항선 출항선이 반드시 알아야 할 필요한 항해 수칙 및 항로 이용 방법 등에 해당한다.

 

4. 항법의 종류

 가. 지문항법

  • 모든 항법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기초항법이다.
  • 지구과학에 관한 내용, 조석과 조류 영향, 항로표지 종류와 이용, 해도와 수로서지를 이용한다.
  • 실측항법 이용 : 등대 등 연안의 물표를 관측하여 선위를 구하는 항법이며, 주로 연안항해시 이요하여 연안항법이라고도 지칭한다.
  • 추측항법 이용: 지구의 모양, 크기 등 지구의 형상을 이용하여 항정과 침로를 기초로 하여 임의 시점의 선위를 계산하는 항법이며 주로 대양항해시 이용하며 대양항법이라고도 지칭한다.

바닷가 하얀 등대모습
연안항법과 등대

나. 천문항법

  •  지문항법과 달리, 육지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면 지상 물표관측이 불가능하므로 과거 대양항해시 선위측정법으로 사용하였다.
  • 오늘날에는 전파계기 발달로 이용 감소되고 있다.
  • 태양, 달, 행성, 항성과 같은 천체의 고도를 관측하여 선위 및 컴퍼스 오차를 구하는 항법이다.

 

오래된 세계지도와 나침의방위
수면위에서 나침의를 들고있는 남성의 손
나침의

다. 전파항법

  • 과학의 발달로 육상의 물표나 천체를 관측하지 않고 전파계기를 이용하여 선위를 구하는 항법이다.
  • 전파계기를 이용하여 선위를 구하거나 안전이 필요한 항해시(무중항해, 협수로 항해) 통항 도움을 받으면서 항해한다.
  • 전파의 특성(직진성, 반사성, 등속성)을 응용한다.
  • 중요 전파계기로는 레이더, 로란, RDF, GPS 등이 있고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항해한다.

조타실내부 각종 전파장비모습 (Bridge)
조타실내부 (각종 전파장비)

이상, 항해술의 정의와 분류, 항법의 종류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보았고 2탄에서는 항해술의 분류에 따른 각종 항해술을 자세히 살펼보도록 한다.

댓글